유해생물 – 쥐

유해생물

Customer Center

문의전화

1688-1475

궁금하신 사항 문의주세요.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드립니다.

쥐2
RAT

쥐류의 식성은 대체적으로 식물성혹은 잡식성이며 우리나라 에서는 쥐과와 다람쥐과가 있고
그 중에서 위생학상 문제되는 쥐류는 모두 쥐과에 속해있다

쥐1

여러 종 가운데 지붕쥐(곰쥐),시궁쥐와 생쥐 3종은 가주성으로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주택 내 또는 그 주변에서 서식하고있다. 서식장소는 인가, 창고, 가축사, 하수구 등과 인가 부근의 경작지로서 사람에게 의존하여 생활하고 있다.

야행성으로 가주성중에서 가장 물을 좋아하며, 나무타기를 잘하고 벽이나 기둥 등도 잘 탄다.

성질은 거칠고, 집단생활에 잘 적응하며, 사회행동은 복잡하다. 잡식성으로 곤충이나 새의 알, 물고기, 감자, 옥수수, 콩, 땅콩, 쌀 등을 좋아한다

연 3~5회 출산하며, 임신기간 약 24일로 한배에 4~10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출산의 횟수는 암컷의 나이와 사회적 순위에 따라 다르다 새끼는 생후 약 80일이면 성숙한다.  중앙 아시아 원산으로, 18세기 초에 유럽으로 건너가 널리 퍼졌는데, 유럽으로 들어간 시기는 곰쥐보다 훨씬 늦다. 세계 각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가주성쥐 3종을 제외한 모든 쥐류를 들쥐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등줄쥐 1종이 전국에 걸져 절대적인 우점종을 보이고있다. 등줄쥐는 배면의 색이 적갈색이고, 북면은 회백색이며, 배면은 검은줄이 머리 위로부터 꼬리의 기부까지 달하고 있어 다른 종류 특히 생쥐와 식별된다.

무게는 20g내외로서 크기 형태 등이 모두 생쥐와 유사한 종이며, 서식장소는 주로 수수, 조, 보리, 야채류 등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지,황무지,산밑 등에 높은 밀도를 나타내고있고 산 증턱이나 정상에서도 발견된다. 식량을 별도로 저장하는 습성이 없어 겨울에도 먹이를 찾아 나서며, 먹이로는 여러가지 곡물과 사초과나 화본과 식물의 종자 등을 섭취한다.

쥐2 1

쥐 매개 질병

흑사병, 리켓치아성 질병, 살모넬라증, 서교열,렙토스피라증,레이슈마니아증, 출혈열, 선모충증

쥐 방제법

쥐방제1

쥐를 성공적으로 구제하기 위해서는 쥐의 서식처, 은신저, 활동장소, 먹이의 공급처 등을 파악해야 한다.
쥐가 먹을 만한 식품과 물 그리고 서식할 장소를 제공하지 않도록 깨끗이 시설을 관리하면 쥐는 저절로 없어진다.

쓰레기를 자주 수거하고 불필요한 물건, 용기, 포장을 없애며 물건을 쌓을때에는 벽에서 간격을 두어 질서 있게 쌓는다. 창고는 쥐가 뚫을 수 없어야 하며 그 안에 독이나 철제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집 주변에 있는 낙엽이나 잡초를 제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환경적인 방제
쥐의 먹이를 방서용기에 담아 보관하며 오물의 관리는 60cm이상 매몰되야 하며 방서망을 건물에 설치하며 주택이나 창고 벽에는”L“자 형 시멘트 방서 구조물을 설치한다.

화학적인 방제
살서제를 이용하여 중독사 시키는 방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쥐약에는 만성 살서제와 급성 살서제로 나뉘고 전문가들은 환경 오염 및 2차 중독을 막기위해 만성 살서제를 이용한다.

물리적인 방제
쥐틀이나 쥐덫을 주로 사용하며 그외 접착제를 이용한 쥐 끈끈이가 있다. 전문가는 살서제 처리 후 잔존한 소수의 쥐가 먹이를 경계할 때 이 방법을 쓴다.

쥐덫